[사설] 인력난에 원자재 값 급등… 설상가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북신문 작성일21-11-01 18:00 조회7,01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역중소제조업체들이 주52시간제와 만성적인 인력난에다 원자재 값 급등으로 설상가상이다. 지역중소제조기업들은 원자재 값 폭등에 이어 전기요금마저 인상되어 경영난을 겪으면서 최대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원자재 값 인상과 전기요금 인상은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주물, 열처리, 도금 등 뿌리기업의 소멸로 이어져 제조업, 산업 전반의 위기로서 제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지난 10월부터 kwh당 3원씩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이는 8년만의 요금 인상으로 유연탄, LNG(액화천연가스), 석유 등 전기 생산에 필수적인 연료비 단가가 높아짐에 따른 결정이다.
그러나 제조업 특성상 설비 가동을 멈출 수 없는 탓에 운영비 급등이 우려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제조 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 15%에서 30%를 웃돈다. 존폐 위기에 처한 제조업에 운영비 압박이 생산비용 증가로 가중된 셈이다.
원자재 값 상승도 지역 영세 중소업체들을 옥죄는 요소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수입물가지수는 124.58로 전월대비 2.4% 올라 5개월째 상승 기조다. 광산품(5.1%)을 중심으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4.6% 상승했고, 중간재가 석유및석유제품(5.7%), 제1차금속제품(2.3%)을 중심으로 1.8% 올랐다.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을 거래처로 하는 중소기업 입장에서 원자재 가격은 치솟았지만 이를 원가에 반영해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지역 주물업체 한 관계자는 "중간재를 납품하다 보니 원재료 가격이 상승해도 거래처에선 납품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뿌리 기업은 제조업의 근간으로, 오랜 경험과 높은 기술력이 필수다. 그러나 인력난에 내몰린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인력 부족으로 인해 그간 외국인 근로자에 의지했지만 코로나19로 그마저도 어려워졌다. 거기에다 주 52시간제로 인해 기존 2교대에서 3교대로 바꾸게 되며 필수 인력이 늘었지만, 인건비가 상승해 추가 인력을 구할 여건이 안 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 지역 내 10인 이하 소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와 인건비 상승·원자재 값 인상 등의 충격으로 올 들어 수개월째 감소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중소업체들의 경영애로사항으론 '인건비 상승'(66.3%)과 '원자재 가격상승'(37.0%)이 압도적이었다.
지역 제조업체 한 대표는 "에너지 문제뿐만 아니라 주 52시간제, 전기료 인상 등 기업을 규제하는 기조의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고 진단하며 "30년을 제조업에 종사해왔지만 지금처럼 힘들었던 적이 없다"고 한탄한다.
자고나면 한탄의 소리와 함께 제조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주된 이유가 코로나19 사태와 원자재 값 상승 압박, 인건비 부담 등이다. 재난지원금 몇 푼으로 중소제조업체를 살리고 민심을 얻을 수는 없다. 원자재값 인하와 전기요금인하만이 지역중소제조업기업체의 살길이다.
특히 원자재 값 인상과 전기요금 인상은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주물, 열처리, 도금 등 뿌리기업의 소멸로 이어져 제조업, 산업 전반의 위기로서 제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지난 10월부터 kwh당 3원씩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이는 8년만의 요금 인상으로 유연탄, LNG(액화천연가스), 석유 등 전기 생산에 필수적인 연료비 단가가 높아짐에 따른 결정이다.
그러나 제조업 특성상 설비 가동을 멈출 수 없는 탓에 운영비 급등이 우려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제조 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 15%에서 30%를 웃돈다. 존폐 위기에 처한 제조업에 운영비 압박이 생산비용 증가로 가중된 셈이다.
원자재 값 상승도 지역 영세 중소업체들을 옥죄는 요소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수입물가지수는 124.58로 전월대비 2.4% 올라 5개월째 상승 기조다. 광산품(5.1%)을 중심으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4.6% 상승했고, 중간재가 석유및석유제품(5.7%), 제1차금속제품(2.3%)을 중심으로 1.8% 올랐다.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을 거래처로 하는 중소기업 입장에서 원자재 가격은 치솟았지만 이를 원가에 반영해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지역 주물업체 한 관계자는 "중간재를 납품하다 보니 원재료 가격이 상승해도 거래처에선 납품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뿌리 기업은 제조업의 근간으로, 오랜 경험과 높은 기술력이 필수다. 그러나 인력난에 내몰린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인력 부족으로 인해 그간 외국인 근로자에 의지했지만 코로나19로 그마저도 어려워졌다. 거기에다 주 52시간제로 인해 기존 2교대에서 3교대로 바꾸게 되며 필수 인력이 늘었지만, 인건비가 상승해 추가 인력을 구할 여건이 안 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대구경북 지역 내 10인 이하 소기업들은 코로나19 사태와 인건비 상승·원자재 값 인상 등의 충격으로 올 들어 수개월째 감소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중소업체들의 경영애로사항으론 '인건비 상승'(66.3%)과 '원자재 가격상승'(37.0%)이 압도적이었다.
지역 제조업체 한 대표는 "에너지 문제뿐만 아니라 주 52시간제, 전기료 인상 등 기업을 규제하는 기조의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고 진단하며 "30년을 제조업에 종사해왔지만 지금처럼 힘들었던 적이 없다"고 한탄한다.
자고나면 한탄의 소리와 함께 제조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주된 이유가 코로나19 사태와 원자재 값 상승 압박, 인건비 부담 등이다. 재난지원금 몇 푼으로 중소제조업체를 살리고 민심을 얻을 수는 없다. 원자재값 인하와 전기요금인하만이 지역중소제조업기업체의 살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